이야기 29. 이야기 속 이야기 1. Action Hero 책 다시 읽기: (3) 디지털 Action hero의 조건

최근 개봉이 되었던 Wonder woman 을 보셨는지.우리가 영화에서 보는 이 많은 Super hero들은 용맹하고 거침이 없으며 초인적인 힘을 발휘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게다가 하나같이 멋지며 섹시하다.  조직에서 몸을 담고 일하다보면  가끔 우리는 이런 유사한 종류의 Super hero가 되기를 강요당하거나 스스로 이렇게 될 수 있다고 믿기도 한다. 특히나 요즘에 시장에서 구하는 디지털인력에 대한 구인광고를 보면 거 초인적인 인력을 구하고자 하는 것 같은데, 현실적으로 그런 스펙은 우리가 가고자 하는 Actionland를 구현할 인력과는 좀 동떨어져 보인다. 우리가 필요한 것은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Super hero가 아니라, 우리 옆에서 같이 일할 Action hero란 점을 명심하자.  그럼 Action hero 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Action Hero 책에서 언급하는 Action hero를 만드는 중요한 성공요소가 존재 하는데 Ability, Environment, Approach 가  그것이다.

20170709_205512

Ability : 좋은 디지털 인력의 속성

좋은 디지털인력의 속성을 설명하게 위해 우리는 네 가지의 카테고리- Business Acumen, Analytics Skills, Web Savviness, People Skills  와 보너스로 하나 더 Hero factor 를 설명한다. 혹시 어느 회사가 디지털 조직을 새로 구성하고, 인력을 보강하려 한다면 아래 표에 있는 내용들이 많은 도움이 되실 것이다.

Table 3.1 Key Ability Summary

H factors

(참고로 표에서 Core란 반드시 갖추어야할 역량, Augmentable은 천성적으로 가지고 있으면 증강될 수 있는 역량, Learnable 이란 훈련을 통해 길러질 수 있는  역량, Web Analytics Action Hero by Brent Dykes, Page 37)

Business Acumen 은 비즈니스 통찰력 정도로 해석이 될 수 있는데, 인력은 단지 분석툴을 잘 다룬다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비즈니스에 대한 이해가 없으면 절대로 분석의 결과를 행동으로 옮길수 없으므로 큰 그림을 볼수 있는 능력, 고객에 대한 이해, 마케팅에 대한 이해 등의 비즈니스 역량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Analytical Skills 는 좌뇌를 사용할 줄 아는 인력, 즉 로직, 수학 그리고 비판적인 사고를 숫자의 결과로 접목시킬 수 있어야함을 의미한다.  데이터에 대한 호기심과 함께 디테일이 강한 성향의 인력에게 유리하다.  표에서 보듯이 툴에 대한 역량은 얼마든지 길어질 수 있는 역량이므로 툴 위주의 인력을 찾는 것은 매우 근시안적인 시각이다.

People Skills은 디지털 분석가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중요한 역량인데, 이들은 조직에서 여러 팀에 걸쳐서 인사이트를 이끌어내야 하는 사람들이므로 커뮤니케이션능력, 사람들 간의 의견을 조정하는 능력등은 이 분야에서 선호하는 능력이다. 디지털 전문가는 골방에서 숫자만 보면서 리포트를 만드는 사람들이 아니라는 의미다.

Web Savviness는 디지털 문맹이 아닌 인력을 의미하는데, 웹 프로그래밍을 하는 정도까지는 아니더라도 디지털 마케팅을 이해하고, 온라인 기술과 용어를 이해하고 흐름을 따라갈 수 있는 인력을 의미한다.

마지막, Hero Factor는 이를테면,  로켓을 쏘기 위한  ‘연료’ 같은 것이다. 아무리 로켓을 잘 만들었어도 연료가 없으면 안 되듯이 위의 모든 역량을 제대로 발휘하기 위한 기본이 되는 그 사람 자체에 대한 품성에 해당하는 속성이다.  이 분야가 요즘에 핫해지긴 했지만 여전히 넘어야 할 산들이 많은 분야라 하고있는 일에 자부심을 가진 열정적인 마음가짐이 필요하다.  디지털시대도 당연히 열정, 겁없음은  선호하는 인재상이다.

Environment : 디지털 인력의 생존이 아니라, 어떻게 이들이 성장하게 하느냐의 문제

Action hero가 길어지는 것은 단순히 그 인력의 역량 자체에 대한 부분이 아니다. 환경적인 요인에 많은 영향을 받는데, 조직의 각 부분에서 이들을 어떻게 성장하도록 여건을 만들어주는가에 대한 부분으로 특히 디지털 조직 문화가 아직 성숙하지 않은 우리 기업의 경우에 깊이 고민을 할 영역이다.

Sponsor 하는 경영진이 있나 :  조직에서 디지털 인력의 업무를 알고 이들을 보호해주며 문제가 발생할 경우 해결할 수 있는 Sponsor 혹은 Champion의 존재가 중요하다.

혹시 Action이 없는 전략을 가지고 있진 않은가 : 많은 회사의 온라인 전략이 가끔 MIA(Missing in Action) 인 상태로 되는 경우가 있다. 매우 빨리 진화하는 부분인데 조직에서 ownership 이 불분명하고 이에 따른 팀간의 소통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가 대체로 그렇게 되고 만다.

디지털 조직을 이끌 인력들이 적재적소에 배치되어 있나:  예를 들면  Sponsor를 하는 최고 경영자,  회사의 디지털 목표를 설정하고 성과 측정하는 웹 분석 Committee,  프로젝트를 드라이브하는 Core team과 이를 리드하는 리더,  기술적으로 지원을 할 기술팀 등등이 준비되어야 한다.

분석을 할 수 있는 질 좋은 Data가 수집되고, 바른 Tool로 분석, 모니터링 되고 있고, 직원들이 제대로 교육을 통해 양성이 되고 있는가. 무엇보다  이 인재들의 업무가  그들의 업무 KPI와 연결되어, 하고 있는 일에 명확히 책임(Accountability)가 주어져 있는가.   그들이 업무에 accountability가 없다는 것은 그들의 업무가  ‘need to know’ 가 아니라 ‘nice to know’ 인 경우를 의미한다. 어느 누가 nice to know 인 업에 책임을 다하고 일을 하겠는가.

Approach : Action hero의 길

이제 제대로 역량을 가진 분석가가 회사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고 있다고 해서 그들이 Action hero가 되는 것은 아니다. 마지막의 그들이 조직에서 그 역할을 다해야 한다.

분석가의 역할은 사실 만만하지 않은데  주로 담당해야 할 역할을 정리해 보자면

  •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수집: 회사 전반에 있는 디지털에 대한 요구사항, 기대 수준을 수집한다
  • 솔루션 디자인 : 비즈니스 요구사항이 큰 그림에서 어떤 지표와 어떤 리포트, 기술적으로 어떻게 구현이 가능할지 mapping을 한다.
  • 데이터의 검증 및  테스트 : Tool에서 기술적으로 수집이 된 데이터가 제대로 구현이 된 데이터인지 검증해 줄 수 있어야한다.
  • 문서화 : 디지털 프로젝트의 성공 및 관리를 위해 회사의 주요 지표와 기술적인 스펙에 대한 문서 및  내부팀간의 소통을 위한 문서를 생성하고 관리한다.
  • 구현 및 교육 : 실제로 기술적으로 구현하는 팀을 리드 혹은 일부분에서 기술 구현에 필요한 비즈니스적인 조언을 줄 수 있어야하고, 구현이 된 후 내부직원들에게 확산을 위한 교육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이 실제 가능해지기 위해서  분석는 무엇을 분석 할지 우선순위를 정하고, 어떻게 분석할지 고민하고, 어떻게 Action으로 드라이브할지를 일련의 Framework을 가지고 (책에서는 이것을 The Action Hero Framework이라 한다) 일하기를 권장한다.

이 세 가지의 요인들이 제대로 준비가 되면 이제 우리는  Actionland로 가기 위한 정예그룹 즉 Action hero들을 만들어 낼 수가 있다. 어떤가. 간단하지는 않겠지만,  현실에 없는 Super hero를 기대하고,  보라다람쥐 (Purple Squirrel, 찾기 힘든 보라색다람쥐처럼 시장에 존재하지 않는, 고퀄러티 만능 스펙의 후보자를 이르는 단어) 찾는 인력공고를 내는 것보다는 괜찮은 방법론 아닌가.

댓글 남기기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